수요예배

  • 홈 >
  • 생명의 양식 >
  • 수요예배
수요예배
열왕기① 열왕기서는 어떤 책인가?(왕상 1~2장) 김강석 목사 2023-01-04
  • 추천 1
  • 댓글 0
  • 조회 351

http://sk50.kr/bbs/bbsView/119/6192913

[성경본문] 열왕기상1:1-10절 개역개정

1. 다윗 왕이 나이가 많아 늙으니 이불을 덮어도 따뜻하지 아니한지라

2. 그의 시종들이 왕께 아뢰되 우리 주 왕을 위하여 젊은 처녀 하나를 구하여 그로 왕을 받들어 모시게 하고 왕의 품에 누워 우리 주 왕으로 따뜻하시게 하리이다 하고

3. 이스라엘 사방 영토 내에 아리따운 처녀를 구하던 중 수넴 여자 아비삭을 얻어 왕께 데려왔으니

4. 이 처녀는 심히 아름다워 그가 왕을 받들어 시중들었으나 왕이 잠자리는 같이 하지 아니하였더라

5. 그 때에 학깃의 아들 아도니야가 스스로 높여서 이르기를 내가 왕이 되리라 하고 자기를 위하여 병거와 기병과 호위병 오십 명을

6. 그는 압살롬 다음에 태어난 자요 용모가 심히 준수한 자라 그의 아버지가 네가 어찌하여 그리 하였느냐고 하는 말로 한 번도 그를 섭섭하게 한 일이 없었더라

7. 아도니야가 스루야의 아들 요압과 제사장 아비아달과 모의하니 그들이 따르고 도우나

8. 제사장 사독과 여호야다의 아들 브나야와 선지자 나단과 시므이와 레이와 다윗의 용사들은 아도니야와 같이 하지 아니하였더라

9. 아도니야가 에느로겔 근방 소헬렛 바위 곁에서 양과 소와 살찐 송아지를 잡고 왕자 곧 자기의 모든 동생과 왕의 신하 된 유다 모든 사람을 다 청하였으나

10. 선지자 나단과 브나야와 용사들과 자기 동생 솔로몬은 청하지 아니하였더라

제공: 대한성서공회

(성광교회 수요사경회) 2023. 1. 4.

열왕기① 열왕기서는 어떤 책인가?(김강석 목사) 

 

1. 성경을 읽을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 - 책의 성격 (종류, 장르)

일반적 문학 장르 - 시, 노래(찬양), 역사, 우화, 소설, 수필 성경의 특수 장르 - 율법, 복음서, 예언, 묵시문학(환타지적 비유) 율법책 (모세오경):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역사서: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 열왕기, 역대기,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 시가서: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5권) 예언서: (대예언서) 이사야, 예레미야, 예레미야애가, 에스겔, 다니엘(5권) (소예언서)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12권) 2. 유대인의 성경 분류(타나크) 토라(율법):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느비임(예언자들): 여호수아, 사사기, 사무엘, 열왕기,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호세아, 요엘, 아모스, 오바댜, 요나, 미가, 나훔, 하박국 스바냐, 학개, 스가랴, 말라기 케투빔(그외 책들): 룻기, 역대기, 에스라(느헤미야),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 예레미야 애가, 에스더, 다니엘 3. 열왕기서와 역대서의 차이 열왕기 (예레미야가 멸망기에 기록, 불순종을 회개하고 정결한 신앙을 회복하라) ①신명기적 관점 : 신정론(하나님은 언제나 옳으시다. 반드시 응답하신다) 쉐마(신 6:4-8), 순종하면 축복, 불순종하면 저주(신 28장) ②남, 북 왕조를 다 기록함(예언자에 대한 기록이 상세함) ③다윗왕 말기부터 시작됨 ④예루살렘 멸망으로 끝남 역대기 (에스라가 포로기에 기록, 민족적 자긍심을 가져라) ①제사장적 관점 : 하나님께서 택하신 민족의 전통이 있다. 유대 민족은 반드시 회복된다. ②주로 남왕국 유다의 역사를 기록함(일종의 왕조실록) ③아담으로부터 시작 ④고레스의 귀국 명령(회복의 소망)으로 끝남 4. 역사의 의미 볼프강 판넨베르크(1826~2014) “역사로서의 계시”(1961) -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역사의 신' 이시다. 인간의 역사 속에 하나님의 뜻이 담겨있으며, 하나님을 역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계시하신다. 5. 열왕기서의 내용(1-2장, 솔로몬과 아도니야) 1장 ①다윗이 늙음(1:1-4)에서 시작됨 ②아도니야(압살롬 동생)가 왕이 되려고 함(요압 대장군, 아비아달 제사장) ③솔로몬이 왕이 되다(다윗이 지목한 정통성 있는 왕. 1:35) ④아도니야가 제단 뿔을 잡고, 용서를 받음(1:50-51) 2장 ①다윗의 유언과 죽음(2:1-9)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령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지라. 여호와께서 내 일에 대하여 말씀하시기를 만일 네 자손들이 그들의 길을 삼가 마음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여 진실히 내 앞에서 행하면 이스라엘 왕위에 오를 사람이 네게서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하신 말씀을 확실히 이루게 하시리라”(2:3-4) ②아도니야의 술수와 죽음(13-25) - 수넴 여자 아비삭(다윗의 첩, 1:3)을 달라고 밧세바를 통해 청탁을 넣는 정치적 술수를 부림 ③아도니야 세력의 척결 - 하나님의 뜻을 생각하지 않고, 자기 생각대로 교만한 자들은 반드시

대가를 치른다.

- 아비아달 제사장 추방(→사독) - 요압 대장군 처형(→브나야) - 협력자 시므이 처형 6. 열왕기상 1-2장의 메시지 1) 축복과 저주의 기준은 순종이다. 솔로몬 시대의 번영이나 르호보암 시대의 왕국의 분열, 남북 분열 왕국 시대의 번영과 재앙, 앗수르에 의한 북이스라엘의 멸망, 바벨론에 의한 남유다의 멸망과 포로 등은 모두 하나님께 대한 순종 여부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즉, 이스라엘 백성이 당하고 있는 모든 불행의 원인은 하나님께 불순종한 데 있음을 상기시켜서, 그들로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이키게 함으로써 다시금 하나님의 축복을 누리도록 하기 위하여 본서를 기록한 것이다. 2) 모든 권세의 근원은 하나님이시다. 솔로몬은 인간적인 조건으로 보자면 왕이 되기에는 어려운 인물이었다(다윗의 열 번째 아들이자 다윗이 우리아를 죽이고 빼앗아 아내로 삼은 밧세바의 소생). 그에 반해 아도니야는 당시 생존해 있던 다윗의 아들들 중에서는 장자였을 뿐만 아니라 체형이 준수하였고 나아가 당시 이스라엘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던 요압과 아비아달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그러나 다윗의 왕위를 계승한 것은 아도니야가 아니라 솔로몬이었다. 비록 아도니야가 스스로 왕위 즉위식을 갖기는 하였지만 그의 왕위 계승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또 이후에도 다시 한 번 왕위 찬탈을 도모하였지만 실패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하나님께서 이미 솔로몬을 다윗의 계승자로 선택하신 까닭이다. 즉 하나님은 솔로몬이 날 때부터 그를 다윗의 계승자로 택하셨던 것이다(삼하 13:24, 25). 이것은 세상의 모든 권세의 근원이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분명히 한 것이다.  

"권세는 하나님께로 나지 않음이 없나니 모든 권세는 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바라"(롬 13:1)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열왕기② 솔로몬에게 배우는 축복의 비결(왕상 3~4장) 운영자 2023.01.12 1 317
다음글 그리스도인이 꼭 알아야 할 기독교의 기초 교리 ②하나님은 누구신가(시 19:1) 운영자 2022.08.25 0 672